1. 안압
안압은 우리 눈이 정상적인 구조와 기능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일정한 눈 속의 압력을 말합니다. 이는 눈 속을 채우고 있는 물(방수)의 양에 의해 영향을 많이 받습니다. 방수란 안구의 앞부분인 각막과 수정체 사이를 채우고 있는 투명한 액체로서 수정체 주위에 있는 모양체에서 만들어져서 배출관인 섬유주라는 조직을 통해 눈의 바깥으로 배출됩니다. 방수는 이렇게 끊임없이 순환하며 수정체와 각막에 영양분을 공급하며, 노폐물을 제거하는 기능을 합니다.
안압은 모양체 돌기에 의한 방수의 생성과 섬유주를 통한 방수의 유출이 균형을 이뤄 결정됩니다. 안압을 측정하는 방법은 중심 각막의 작은 부분을 편평하게 해주는 힘을 측정하는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10mmHg와 21mmHg 사이의 압력을 말합니다. 그러나 이것은 정상인의 95%가 이 범위의 안압을 나타내는 것을 뜻하며, 실제로는 정상 안압은 수치로 표현하는 데는 문제가 있습니다. 안압은 일내 변동이 있어 일반적으로 아침에는 높은 경우가 많으나 개인에 따라 그 패턴이 다릅니다. 안압은 계절변동도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안압은 겨울에는 높고 여름에는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안압에 관련되는 요인으로는 연령, 성별, 굴절, 인종, 체위, 운동, 혈압, 안검압 및 안구 운동 등이 거론되고 있으며 몇몇 종류의 약물도 안압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안압이 녹내장을 진단하는 데 가장 기본적인 요소지만 반드시 시신경 검사와 시야 검사와 같은 정밀한 녹내장 검사가 병행되어야 합니다. 22mmHg 이상이면 녹내장의 발생 위험이 증가되고 아주 드문 경우이지만 안압이 낮아도 녹내장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고안압증(Ocular hypertension)
안압은 21mmHg이상으로 높으면서 시신경과 시야가 정상 소견을 보이며, 안압 상승을 일으킬 안소견이나 전신적인 이상이 없는 상태를 말합니다. 고안압증 환자에게서 만성 개방각 녹내장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3. 시신경변화
시신경유두는 망막의 신경섬유들이 모여서 눈을 떠나 뇌로 들어가는 곳으로 안압이 상승되어 시신경들이 손상되면 이곳에 변화가 오게 됩니다. 안압이 올라가면 시신경이 직접 손상을 받거나 눈으로 들어오는 혈류가 감소하기 때문에 간접적으로 시신경이 손상될 수 있습니다.
4. 시야 변화
녹내장 발병의 가장 중요한 위험인자는 안압이지만, 안압이 높다고 모든 고안압증 환자에서 녹내장으로 진행되는 것은 아닙니다. 기타의 위험인자로는 녹내장으로 진행할 가능성을 보이는 시신경 유두 즉, 유두 함몰이 증가된 경우와 두 눈의 유두 함몰의 비대칭, 신경 섬유층의 결손이 의심될 때, 40대 이상의 고연령, 녹내장의 가족력, 방수 유출률의 감소, 전신적 심혈관계 질환을 앓고 있을 때, 당뇨병, 갑상선 기능부전, 근시안, 안구 부상, 수술이력, 만성적인 염증, 스테로이드의 장기 복용 등이 있습니다.
몇몇 약들은 안압을 증가시킬 가능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녹내장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스테로이드를 이용한 국부치료에서 개방각 녹내장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 외 우울증, 알레르기, 파킨슨 치료제로 처방된 약들은 급성 폐쇄각 녹내장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5. 임상증상
녹내장은 시력을 상실할 때까지 증상이 없을 수 있으나 통상적으로 시야가 흐리거나, 불빛에 후광(달무리)이 보이거나, 주변 시각 또는 측면 시각 손실, 터널 시각, 충혈, 심한 눈 통증, 멀미 또는 구토와 같은 증상을 나타냅니다.
'건강정보 > 눈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녹내장이 있을 때 주의해야 하는 약물 (0) | 2025.01.24 |
---|---|
갑자기 시야 일부분이 안 보이는 원인과 치료 방법 (0) | 2025.01.23 |
눈 건강을 위한 인공눈물 성분, 무엇을 골라야 할까? (0) | 2025.01.22 |
근시 억제 안약이 있다는 것 아시나요 (0) | 2025.01.22 |
눈꼽은 왜 생기는 걸까 (0) | 2025.01.21 |
백내장 질환의 약물 치료법 (0) | 2025.01.21 |
녹내장 점안제 종류와 사용법 (0) | 2025.01.14 |
다래끼와 눈꺼풀 마사지, 효과적인 방법 (0) | 2025.01.14 |